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치감이라는 단어를 아세요?
    나의 이야기/견문록 2010. 12. 14. 14:22

     


    유명한 식객 블로거들의 글이나 음식 관련 기사에 간간히 등장하는 단어입니다. 
    생소한 단어였지만 보는 순간 '음식을 씹을 때의 느낌- 齒感' 정도로 풀이했죠. 그런데 요즘처럼 여기저기서 맛타령을 해대기 이전엔 이 단어를 접해 본 기억이 없어 검색해 보니 저 단어를 사용한 이들이 의미했을, 그리고 제가 생각한 의미의 단어는 존재하지 않더군요.

    치감이라는 단어는 '齒疳'이라는 한자어로

    치감

    (齒疳)
    [명사] [한의학] 감병의 하나. 잇몸이 곪고 썩어서 냄새가 나고 심하면 이가 빠진다.

     

    라는 의미만 사전에 올라와 있습니다. 맛을 얘기할 때 사용하는 단어가 정작 맛과는 전혀 관계없고 오히려 맛을 보기 곤란한 상태가 되는 질병을 가리키는 단어였던 겁니다. 이 사실을 알게 된 후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에이, 어쩐지 단어가 낯설다했어. 
    그냥 많이들 쓰는 식감 정도로 쓰지 굳이 있지도 않은 한자말 만들어 가면서 쓸 건 뭐람'

    그런데 문득 그럼 식감이라는 단어는? 하고 찾아 보니 이 단어 역시

     

  • 식감1
  • (食疳) [식깜]
    [명사] [한의학] 같은 말 : 비감4(痹疳)(어린아이에게 생기는 소화 기관 질환).
  • 식감2
  • (識鑑) [식깜]
    [명사] 같은 말 : 감식4(鑑識)(1. 어떤 사물의 가치나 진위 따위를 알아냄).

     

    이라는 단어만 있더군요. 치감 보다는 많이 쓰이긴 하지만 식감이라는 단어도 맛과 관련된 의미의 우리말 단어는 아예 존재하지 않았던 것이죠. 다만 식감이라는 단어에 대해선 네이버 오픈 사전에 어떤 이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의미로 풀이해 놓은 것이 올라와 있는 정도입니다. 그마저도 다른 분들이 '우리말 단어가 맞냐? 일본식 한자가 아니냐?'며 의문을 제기했더군요.

    지금까지 제 자신도 있지도 않은 말을 써왔으면서 그보다 생소하다는 이유로 '치감'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행태에 거부감을 느꼈던 겁니다. 볼이 발그레. 부끄러워졌습니다. 원래 저는 평소에 되도록 한자어를 안쓰려고 노력하는 편입니다. 뭐, 어려운 한자어를 자유자재로 쓸 정도의 학식이 있음에도 쓰지 않는 건 아니고, 위에서 '사전에 등재돼' 대신 '사전에 올라와'를 쓰는 식이죠. 그렇다고 '곰비임비' 같은 생소한 우리말 단어를 일부러 찾아 쓸 정도의 깜냥이 있는 것도 아닙니다. 편하게 할 수 있는데까지만 하는 정도.
     
    한편으론 위에서 얘기하고 있는 의미의 단어가 왜 없을까하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씹고 뜯고 맛보고 즐기는 행위가 근래에 생겨난 것도 아닌데 말이죠. 그러다 문득 '굳이 그런 단어가 필요한가'라는 의문이 다시 생기더군요.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씹는 맛', '씹을 때의 느낌' 정도로 얘기해도 문제가 없는데 굳이 한자가 들어간 단어를 사용해야만 하는가라는 의문말입니다. 

    우리에겐 무의식 중에 우리말을 한자어로 줄여 써야 한다는 강박 관념이 있는 듯 합니다. 알다시피 한글이 만들어진 이후에도 수백년 동안 제대로 쓰인 적이 없고 오히려 무시받은 역사로 인해 생긴 경향일테죠. 물론 우리가 엄연히 한자 문화권에 속해 있기에 한자나 한자어의 효용을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 분명 있습니다. 하지만 괜한 강박 관념 또는 우월감으로 없는 한자어까지 만들어 쓰는 일은 피해야겠죠.
     

        

    그런데 한자로 쓰인 예전 문헌에는 '씹는 느낌'을 과연 어떻게 표현했을까라는 의문이 다시 생기는군요.
    에이. 역시 생각하는 건 피곤한 일입니다.




    '나의 이야기 > 견문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대공원 동물원 호랑이 먹이주기  (2) 2011.06.04
    토끼똥의 맛  (5) 2010.12.03
    2010 서울 세계 불꽃축제  (14) 2010.10.14

    댓글

Designed by Tistory.